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충전소 이용 후기

CARDAM 2025. 2. 20.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충전소를 이용할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충전소의 위치, 충전 속도, 비용, 접근성 등은 장소에 따라 차이가 크며, 사용자 경험 역시 다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속도로 휴게소, 도심 급속 충전소, 아파트 완속 충전소를 직접 이용해 본 후기를 공유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최적의 충전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카담
전기차충전소
전기차충전
EV충전
전기차완속충전
전기차급속충전
전기차이용후기
전기차라이프
전기차충전인프라

 

1. 고속도로 휴게소 충전소 이용 후기

고속도로 장거리 이동 중 급속 충전소를 이용하였습니다. 100kW급 DC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였으며, 약 30분 동안 충전하여 배터리 용량의 60%를 채울 수 있었습니다.

장점

고속도로 휴게소에 위치한 충전소는 장거리 운전 중에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충전 속도가 빠른 DC 급속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어 짧은 시간 내에 배터리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전하는 동안 휴게소 내에서 식사를 하거나 편의점을 이용할 수 있어 대기 시간이 부담스럽지 않았습니다.

단점

주말이나 연휴 기간에는 충전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한정된 충전소에서 많은 차량이 몰리다 보니 최소 20~30분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또한, 특정 브랜드의 충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휴게소도 있어, 충전이 필요할 때 원하는 충전소를 찾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습니다.

총평

고속도로 이용 시 필수적인 충전소지만, 미리 경로를 계획하고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충전소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특히 고속도로를 달리기 전 충분한 충전을 해두면 불필요한 대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도심 급속 충전소 이용 후기

서울 도심 내 공영주차장에 위치한 급속 충전소를 이용하였습니다. 50kW급 DC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였으며, 약 40분 동안 충전하여 배터리 용량의 50%를 채울 수 있었습니다.

장점

도심 내에 위치한 충전소는 접근성이 뛰어나며, 필요할 때 바로 충전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특히 공영주차장이나 대형 마트, 쇼핑몰 등에 설치된 충전소를 이용하면 충전하는 동안 쇼핑이나 업무를 볼 수 있어 시간 활용도가 높았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충전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단점

충전소의 수가 많지 않아 인기 지역에서는 충전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이나 주말에는 충전 대기 차량이 많아, 충전소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일부 충전소는 심야 시간에 운영하지 않거나, 특정 앱을 통해 사전 예약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 즉흥적인 이용이 어려울 때가 있었습니다.

총평

도심에서 충전이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하지만, 충전기 부족 문제로 인해 사전에 충전소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아파트 완속 충전소 이용 후기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7kW급 AC 완속 충전기를 이용하였습니다. 8시간 동안 충전하여 배터리 용량의 90%를 채울 수 있었습니다.

장점

완속 충전소는 급속 충전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차량을 주차하면서 자연스럽게 충전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 동안 충전할 수 있다면 별도의 충전 계획 없이도 항상 배터리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전 중 대기할 필요가 없어 다른 일정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단점

충전 속도가 느려서 최소 6~8시간 이상 충전해야 충분한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파트 내 충전기 개수가 한정되어 있어 거주자가 많을 경우 충전기 사용을 두고 경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 아파트에서는 충전소 설치가 부족하여 이용 자체가 어렵기도 합니다.

총평

시간이 충분한 경우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지만, 충전 공간이 부족한 경우 충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파트 내 충전소 설치가 더욱 확대된다면 전기차 사용자들의 충전 스트레스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4. 전기차 충전소 비교 및 추천 충전 방식

각 충전소의 특성과 장단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충전소 유형충전 속도비용(평균)편의성추천 대상

고속도로 급속 충전소 매우 빠름(30~40분) 비쌈(1kWh당 350원) 대기 시간이 길 수 있음 장거리 운전자
도심 급속 충전소 빠름(40~50분) 중간(1kWh당 300원) 접근성 좋으나 충전기 부족 출퇴근 중 급하게 충전할 경우
아파트 완속 충전소 느림(6~8시간) 저렴(1kWh당 150원) 주차 공간 문제 있음 매일 주차 후 충전 가능할 경우

충전소를 선택할 때는 본인의 주행 패턴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속도로 이용이 많다면 급속 충전소를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 도심에서 주행이 많다면 급속 충전소의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이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 거주지에 완속 충전소가 있다면 충전 비용 절감을 위해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전기차 충전소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분명하게 나뉘었습니다. 앞으로 충전 인프라가 더욱 확충되고, 충전 속도가 향상된다면 전기차 이용이 더욱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아파트와 도심 내 충전소가 증가한다면 사용자의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 것입니다.

자신의 운행 패턴에 맞춰 충전 전략을 세우고,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전기차 이용 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더욱 발전하여 충전 대기 시간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